★산행의 육하원칙
* 하나. 언제 산으로 가나?
봄이 좋다.
가을은 더 좋다.
여름도 괜찮다.
겨울은 시리도록 좋다.
자기가 좋아하는 계절이
영락없이 더 좋다.
괴로울 때 가라.
기쁠 때나 외로울 때도 가라.
바람 부는 날.
비 오는 날.
눈 오는 날.
눈이 부시게 푸른 날.
천둥치고 번개치는 날.
달 밝은 날.
미쳤다고 생각되는 날까지 가라.
* 둘. 어느 산을 갈 것인가?
가까운 산 몇 번 간 후에
먼 산으로 달려가라.
낮은 산 오르고,
높은 산 올라라.
유명하고 아름다운 산은 자꾸만 가라.
* 셋. 누구하고 갈 것인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고.
적다면 적어서 좋다.
서넛이면 여러가지로 좋고.
둘이면 손잡기 좋고.
혼자면 마음대로라 좋다.
홀로 가면 바람과 구름.
나무와 새.꽃과 나비를
몽땅 가슴에 담을 수 있어 좋을 뿐더러 자연과 친구가 될 수 있어 희안하게 좋다.
* 넷. 산에 가서 무엇을 하나?
기진할 때까지 방황하다 쓰러져라.
두려움조차 내 것으로 껴안아라.
새소리도 흉내내보고.
나뭇잎에 편지라도 적어보라.
향기에 취해서 야생화를 뺨에 비벼보라.
산정에서는 고함보다 침묵이.
침묵보다 명상이 엄청 더 좋다.
* 다섯. 어떻게 산에 가면 좋은가?
발가벗고 가라.
허위와 영악함 부끄러움과
마음을 정갈히 빗질할 수 있고.
맑은 계곡물에 더러움과 영악함을 헹구기 쉽다.
* 여섯. 왜 산에 가는가?
산이 있기에 간다.
우린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태어났다.
대답하기 어려우면 존재론으로.
더 곤란하면 운명론으로 돌려라.
더더욱 곤경에 처하면 되물어라.
"당신은 왜 산에 안 가는가?"
산에 가는 것은
밥 먹는 것과 같아야 하고
잠자는 것과 닮아야 한다.
산타는 일이 처갓집 가듯 당당해야 한다
[등산이 몸에 좋은 이유]
① 등산은 젊게 사는 비결이다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등산은 기분을 좋게 한다
등산을 하고 나면 자신감이 충만해 지고
집중력이 향상되는데
이런 효과는 8 ∼ 24시간 지속된다
③ 등산은 강심장을 만든다
등산을 꾸준히 하는 사람이 심근경색에 걸릴 확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④ 등산은 폐기능을 강화한다
등산은 폐의 탄성을 높여 충분한 산소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다
⑤ 등산은 뼈를 단단하게 한다
체중이 실리는 걷기, 등산, 달리기, 줄넘기 같은 운동이 골다공증 예방에 좋다
⑥ 등산은 관절 연골에 좋다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은
연골 세포 사이에 관절액이 스며들게 해
영양공급과 찌꺼기 배출을 원활하게 돕는다
⑦ 등산은 비만을 예방한다
체내에 축적된 넘치는 에너지를 태워
성인병의 원인인 비만을 막는다
※등산을 시작하시는 분들이 꼭꼭 주의해야 하는점
1. 처음 산에 오르는, 또는 아주 오랜만에 오르는 분들은 자신의 체력을 과신 하지 말고 무리한 산행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
2. 산행을 시작할땐 잠시라도 꼭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고 산행을 시작하라.
산행을 하다보면 몸을 풀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의 차이를 느끼는 시간이 한번은 온다.
3. 산행을 처음 또는 오랜만에 하려는 분들은 본격적인 산행을 하기전 걷기 및 가벼운 달리기 등의 운동으로 다리 근럭을 만들고 난후 산행을 시작하라.
이왕이면 걷기→트레킹→근거리 산행 또는 짧은 시간의 산행→원거리 산행 또는 원거리 산행 및 고도산행 순으로 몸을 만들어 가면서 하시는 것이 좋다
산행이 좋다하여 자기몸 상태를 생각치 않고 남들이 좋다하는 산 다 따라 다니다 무릅 망가지고 두번다시 산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 올수도 있다.
경치 좋고 공기좋은 산을 눈앞에 두고도....!
그러나 자기몸의 한계를 생각해서 산을 다니다 보면 어떤 약보다도 훌륭한 보약이 될수 있다.
우린 가끔식 허리를 다친 앉은뱅이 고령의 노인도 산행을 시작한후 왠만한 사람들 보다도 건강히 살고 있다는 이야기를 다중의 매체를 통해 심심치 않게 접하지 않았던가?
# 특히 내가 등산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
등산은 다른 스포츠나 취미완 달리 경쟁하지 않고
배려 하는 마음이 기저에 쫙 깔려있다
산을 즐기면서 유유 자적히 산을 음미 하면서 다니는 것이 진정한 산사람이 되는 길이 아닐까?